60대도 취업률 70% 산림 및 식물보호 자격증
최근 산림 및 식물보호 자격증이 50대와 60대 사이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.
한국산업인력공단의 발표에 따르면, 이 자격증의 응시 인원은 지난 5년간 연평균 5.4% 증가했으며, 취득자의 55.9%가 50대 이상으로 나타났습니다.
특히 60대 이상 취득자의 취업률이 69.6%에 달해 젊은 층보다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어, 노후 대비를 위한 유망 자격증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산림 및 식물보호 자격증의 인기 요인, 취업 전망, 취득 방법 등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산림 및 식물보호 자격증이란?
산림 및 식물보호 자격증은 산림과 식물의 관리, 보호, 진료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국가기술자격입니다.
이 자격증은 크게 산림 분야(산림기술사, 산림기사, 산림산업기사, 산림기능사)와 식물보호 분야(식물보호기사, 식물보호산업기사)로 나뉘며 총 6개 종목으로 구성됩니다.
특히 2018년 산림보호법 개정으로 도입된 '나무의사 제도'로 인해 수목 진료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산림 및 식물보호 자격증의 가치가 더욱 높아졌습니다.
왜 50 60 세대가 산림 및 식물보호 자격증에 몰릴까?
산림 및 식물보호 자격증이 50대와 60대에게 인기 있는 이유는 명확합니다.
한국산업인력공단의 2023년 설문조사에 따르면, 응시자의 43%가 취업을 목적으로 이 자격증을 선택했다고 답했습니다.
퇴직 후 재취업을 준비하는 중장년층에게 이 자격증은 새로운 기회를 제공합니다.
또한, 60대 이상 취득자의 취업률이 69.6%로, 40대 이하보다 높다는 점은 이 자격증의 실질적인 가치를 보여줍니다.
최근 5년간 응시 및 취득 현황 분석
산림 및 식물보호 자격증의 인기는 숫자로도 확인됩니다.
2019년 1만 6,817명이었던 응시 인원은 2024년 2만 681명으로 늘며, 연평균 5.4% 증가했습니다.
취득 인원 역시 같은 기간 5,599명에서 8,084명으로 연평균 6.2% 증가했습니다.
아래 표는 주요 자격증의 증가율을 정리한 것입니다.
자격증 종목 | 응시 인원 증가율 (연평균) | 취득 인원 증가율 (연평균) |
---|---|---|
식물보호산업기사 | 11.4% | - |
산림기능사 | - | 9.9% |
전체 평균 | 5.4% | 6.2% |
나무의사 제도와의 연관성
2018년 산림보호법 개정으로 '나무병원'과 '나무의사 제도'가 도입되면서 산림 및 식물보호 자격증의 중요성이 커졌습니다.
이 제도에 따르면, 나무의사가 되려면 산림, 조경, 식물보호 분야의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한 후 일정 실무 경력을 쌓아야 합니다.
이는 수목 진료라는 전문 직업으로 이어질 수 있어, '의사'라는 타이틀과 안정적인 일자리를 동시에 얻고자 하는 이들에게 매력적입니다.
자세한 내용은 산림청 나무의사 제도 안내를 참고하세요.
높은 취업률의 비결
산림 및 식물보호 자격증 취득자의 취업률은 놀라운 수준입니다.
2023년 취득자를 대상으로 2024년 7월 기준(고용보험 기준) 조사한 결과, 50대 취득자는 48%, 60대 이상은 69.6%의 취업률을 기록했습니다.
이는 40대 이하보다 높은 수치로, 중장년층의 경력과 자격증이 결합되며 시너지를 내는 것으로 보입니다.
특히 산림 관리, 나무병원, 조경 업체 등에서 이 자격증 소지자를 선호한다는 점이 취업률 상승의 배경입니다.
산림 및 식물보호 자격증 취득 방법
산림 및 식물보호 자격증을 취득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
일반적으로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을 통과해야 하며, 일부 종목은 과정평가형 제도를 통해 취득할 수 있습니다.
과정평가형은 일정 교육훈련 후 외부 평가에 합격하면 응시 자격 없이도 자격증을 받을 수 있는 제도로, 산림산업기사와 식물보호산업기사에 적용됩니다.
시험 일정과 접수 방법은 아래에서 자세히 다루겠습니다.
2025년 시험 일정
2025년 산림 및 식물보호 자격증 시험 일정은 아직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공식 발표되지 않았습니다.
하지만 매년 시험 일정이 비슷한 패턴을 따르는 점을 고려해, 2024년 일정을 바탕으로 예상해 보겠습니다.
일반적으로 기사 및 산업기사 시험은 연 3회, 기능사 시험은 연 2~3회 시행됩니다. 아래는 2024년 일정을 참고한 2025년 예상 일정입니다.
- 1회차
- 필기시험: 2025년 2월 중순 ~ 3월 초 (예: 2월 15일 ~ 3월 7일)
- 실기시험: 2025년 4월 말 ~ 5월 초 (예: 4월 27일 ~ 5월 9일)
- 2회차
- 필기시험: 2025년 5월 중순 ~ 6월 초 (예: 5월 10일 ~ 6월 2일)
- 실기시험: 2025년 7월 중순 ~ 8월 초 (예: 7월 19일 ~ 8월 4일)
- 3회차 (기사/산업기사 일부 종목)
- 필기시험: 2025년 8월 중순 ~ 9월 초 (예: 8월 9일 ~ 9월 1일)
- 실기시험: 2025년 11월 초 (예: 11월 1일 ~ 11월 15일)
정확한 일정은 Q-Net에서 2025년 초에 공지될 예정이니, 수험 준비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시험 접수 방법
산림 및 식물보호 자격증 시험은 한국산업인력공단의 Q-Net을 통해 접수할 수 있습니다.
아래는 단계별 접수 방법입니다.
1. Q-Net 홈페이지 접속
Q-Net에 접속합니다.
2. 회원가입 및 로그인
회원가입이 되어 있지 않다면, 개인 정보를 입력해 가입 후 로그인합니다.
3. 원서 접수 메뉴 선택
상단 메뉴에서 '원서접수'를 클릭하고, '국가기술자격' 카테고리에서 원하는 종목(예: 산림기사, 식물보호산업기사 등)을 선택합니다.
4. 정보 입력 및 서류 제출
이름, 생년월일, 연락처 등 필수 정보를 입력합니다.
일부 종목은 응시 자격 서류(학력, 경력 증명서 등)가 필요하니 미리 준비하세요.
5. 시험장 및 날짜 선택
필기시험은 CBT(컴퓨터 기반 시험) 방식으로, 원하는 날짜와 장소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실기시험은 지정된 일정에 따라 진행됩니다.
6. 수수료 결제
결제(필기 약 2만 원, 실기 약 2만~3만 원)를 완료하면 접수가 마무리됩니다.
접수 기간은 시험 일정 발표 후 보통 1~2주간 진행되며, 사전 등록을 통해 미리 정보를 입력하면 접수 당일 편리합니다.
자격증 취득의 장점과 활용 분야
산림 및 식물보호 자격증의 장점은 취업뿐만 아니라 자기계발에도 있습니다.
설문조사에서 응시 목적 2위로 '자기개발(25.8%)'이 꼽혔듯, 이 자격증은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성에 기여하는 보람을 줍니다.
활용 분야는 산림 관리, 나무의사, 조경 설계, 식물 보호 컨설팅 등 다양하며, 공공기관(산림청, 국립공원관리공단)이나 민간 기업에서 모두 인정받습니다.
50 60 세대를 위한 조언
만약 여러분이 50대나 60대라면, 산림 및 식물보호 자격증은 노후 대비에 훌륭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.
높은 취업률과 안정적인 수요를 고려할 때, 퇴직 후에도 경제적 자립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
또한, 자연과 함께하는 일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점도 큰 매력입니다. 지금이라도 도전해보시는 건 어떨까요?
마무리
산림 및 식물보호 자격증은 5060 세대에게 새로운 기회의 문을 열어주는 자격증입니다.
최근 5년간 응시 인원이 꾸준히 증가하고, 60대 이상의 취업률이 69.6%에 달하는 등 그 가치는 입증되었습니다.
나무의사 제도와 연계된 전문성, 환경에 기여하는 보람까지 갖춘 이 자격증은 앞으로도 주목받을 전망입니다.